19 7월 축구 전술] 토탈 사커(토탈 풋볼)
1. 토탈 풋볼 전술이란?
전원공격,전원수비로 대표되는 축구의 전술이자 흐름으로 현대 축구의 토대가 되는 축구역사에 한 획을 그은 전술이다.
토탈 풋볼이긴 하지만 토탈 사커라는 말이 널리 퍼졌으므로 토탈 사커로 작성함.
네덜란드의 전설적인 선수 요한 크루이프를 통해 전 세계에 널리 퍼진 전술로 토탈 축구의 원형을 제시한 스승은 아이러니하게도 뻥글랜드잉글랜드 감독들이었다.
2. 토탈 풋볼 전술의 역사
잭 레이놀즈(Jack Reynolds) 감독은 공격축구의 신봉자로 떼공격, 떼수비를 시도했으며, 빅 버킹검(Vic Buckingham) 감독은 점유 축구의 신봉자로 패스&무브를 강조했다.
그 당시 브라질의 지역방어와 헝가리의 포지션 체인지 등을 도입시키면서 볼을 빼앗긴 후에도 압박을 통해 팀 전체가 최대한 뒤로 물러서지 않고 최후방 라인을 높은 지점에 형성한뒤, 최전방 공격수부터 상대를 적극적으로 압박하면 그만큼 상대 골문과 가까운 위치에서부터 공격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에서 이 전술을 창안하였다.
이렇게 기본 토대가 이미 깔린 상태에서 선수시절에 이러한 감독들의 플레이를 지켜본 리누스 미헬스(Rinus Michels)가 아약스의 감독으로 취임해서 토탈 풋볼를 완성하였다. 그 과정에서 크루이프는 토털 풋볼을 가장 완벽하게 구사할 수 있는 천재였다. 리누스가 토탈 풋볼 전술가라면 크루이프는 야전사령관이었던 셈.
이를 통해 보통 수비 상황에서는 잉여전력으로 간주뒤기 쉬운 공격수들에게 전방에서부터 상대를 압박하도록만들고, 또 공격시에는 포지션 체인지를 통해 수비수들도 적극적으로 공격에 가담시켜 토탈 풋볼이라는 말 그대로 전원공격 + 전원수비의 형태를 취하는 축구 전술로 발전시켜나갔다
한편 이렇게 네덜란드에서 대를 이어 토탈 풋볼의 싹을 키워나갈 무렵, 잉글랜드는 1966년 월드컵에서 우승하고 뻥축구 킥 앤 러쉬 전술이 대세를 이루게 되는데…
하지만 토탈 풋볼이 완전히 네덜란드 고유한 흐름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미헬스 감독의 아약스 시절 이전에도 토탈 풋볼의 흐름이 있었기 때문. 1950년대 헝가리는 경기 중에 유기적인 포지션 변경으로 황금색 바람을 일으켰고, 우크라이나의 빅토르 마슬로프는 압박과 4-4-2를 이용해 토탈 풋볼로 이어지는 여러 개념들을 앞서 선보였으며, 독일의 공격적인 수비수 프란츠 베켄바워뿐만 아니라 이탈리아도 카테나치오를 개량해 스위퍼를 리베로 개념으로 운용하기 시작했고, 1970년 브라질 대표팀은 오늘날도 역대 최강팀 칭호를 듣는 유기적인 미드필더진을 구축했다.
그렇다고 해서 토털사커를 완성시킨 리누스 미헬스나 요한 크루이프의 위대함이 빛이 바래는 것은 아니다. 저런 개념을 완성해 낸 리누스 미헬스나 전혀 새로운 개념에 완벽히 적응한 크루이프나 위대한 사제지간이다. 이 두 사람과 당시 아약스, 네덜란드 대표팀으로부터 현대축구가 태동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3. 토탈 풋볼 전술의 약점
이기는 축구를 하려는 축구팀 입장에서는 당연히 한번쯤은 익히고 들어가는 전술이지만 ,문제는 지키는 축구들을 하려하기 때문에 골이 그렇게 많이 안난다.
그리고 공격시에도 실수를 허용하지 않는 완벽한 패스를 계속 돌리고,전방에 공간이 나면 그때서야 공격을 들어가는 스타일이라서 뜬끔포나 예상치 못한 멋진골이 터지기 어려운점이 있다. 바르셀로나와 스페인국가 대표팀이 대표적이다.이들의 패스를 보자면 피구왕 통키에서 나오는 오복성 패스처럼 보일정도 버금가는 실력이다.
그래서 보는 관객 입장에서는 지루한 전술으로 최근엔 토탈 사커의 업그레이드(?)버전인 안티 풋볼이라는 새로운 흐름도 생겼다. 이 분야의 대표인물은 주제 무리뉴감독으로 비판도 많이 받지만 본인은 쿨하게 비판들을 받아넘긴다.
그리고 선수입장에서도 전원공격,전원수비의 전술이기때문에 전방압박을 위해 그라운드 플레이어들의 높은 체력을 요구하며 ,크루이프 처럼 선수들을 지휘할 사령관같은 키 플레이어가 없으면 제대로 돌아가기 힘든 단점이 있다.
커스컴 축구 유니폼은 로보스포츠에서!
No Comments